목적
- 서울시민의 먹거리에 대한 인식과 관심 등을 측정하고, 서울시만의 유용한 통계지표를 통해 시민의 먹거리 전반에 대한 진단, 질적 수요 및 관심에 대응하는 등 맞춤 정책 도출 등을 위해 기초데이터 및 근거자료 마련하기 위해 매년 조사 수행
조사설계
22년 기준(전체)
구분 | 내용 |
---|---|
조사 대상 | 서울시 거주 가구 내 만 18세 이상 가구원 전수 |
조사 방법 | 가구방문면접조사 |
표본크기 | 본조사 : 2,000가구(만 18세 이상 가구원 3,904명) |
표본오차 | 가구 : 95% 신뢰수준에서 ±2.19%p 가구원 : 95% 신뢰수준에서 ±1.57%p |
표본추출 방법 | 층화집락추출 |
조사내용
구분 | 조사내용 |
---|---|
건강한 식사 | 식품별 섭취빈도, 전반적인 건강상태, 우울감 경험여부, 비만도 |
먹거리보장 | 식품의 질적 ·양적 미보장 이유 |
평소식습관 | 집에서 식사유형, 혼밥, 채식비율과 이유, 채식을 대하는 태도 |
농업, 농촌과 도시농업 | 식량의 중요성,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 농촌과 도시농업, 텃밭과 주말농장 |
좋은 먹거리와 지역사회 | 좋은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음식물쓰레기 및 포장 줄이기 실천, 지역공동식당 유형별 이용 의향 |
먹거리이해력 | 영양 및 안전 영역(식품영양관련 지식 및 식재료와 조리관련 정보를 습득, 이해, 사용하는 역량), 관계 및 문화 영역(음식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 음식을 통한 즐거움과 의미,미식학적 관점), 사회-생태 영역(개인의 식품 선택과 관련된 사회적, 생태적 결과 이해하고 중요시 하는 역량, 윤리적 소비와 먹거리 정의 등) |
먹거리와 행복 | 전반적 삶의 행복도, 먹거리·식생활 만족도, 행복에 대한 먹거리·식생활 중요도 |
식품안전과 서울시 먹거리사업 | 식품별 안전성, 서울시 정책 인지도 및 관심도, 식생활지원 서비스 요구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