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기준(전체)
식품군별 적정섭취율
최근 1년 동안 식습관을 바탕으로 식품군별 평균 섭취한 빈도를 바탕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생활평가지수(Health Eating Index, HEI)의 기준을 적용섭취 적절성 평가
전곡류

- 전곡류 적절 섭취률
-
- 전체 61.8%
- 남성 58.6%
- 여성 64.9%
- 만 18~29세 55.5%
- 30대 43.9%
- 40대 51.6%
- 50대 72.0%
- 60대 78.3%
- 70대 이상 77.8%

단위: 명, %
구분 | 사례수 | 적절 | 부적절 | |
---|---|---|---|---|
전체 | (4,039) | 61.8 | 38.2 | |
성별 | 남성 | (1,943) | 58.5 | 41.5 |
여성 | (2,096) | 64.9 | 35.1 | |
연령별 | 만18~29세 | (805) | 55.5 | 44.5 |
30대 | (705) | 43.9 | 56.1 | |
40대 | (721) | 51.6 | 48.4 | |
50대 | (726) | 72.0 | 28.0 | |
60대 | (752) | 78.3 | 21.7 | |
70대 이상 | (329) | 77.8 | 22.2 | |
권역별 | 도심권 | (209) | 58.3 | 41.7 |
동북권 | (1,264) | 67.4 | 32.6 | |
서북권 | (489) | 77.2 | 22.8 | |
서남권 | (1,241) | 53.7 | 46.3 | |
동남권 | (837) | 57.3 | 42.7 | |
학력 | 중졸 이하 | (403) | 81.0 | 19.0 |
고졸 | (1,173) | 70.0 | 30.0 | |
대학 입학 이상 | (2,462) | 54.7 | 45.3 | |
전문대 | (659) | 50.8 | 49.2 | |
4년제 대학교 이상 | (1,804) | 56.2 | 43.8 | |
가구형태 | 1인 가구 | (724) | 48.6 | 51.4 |
부부 가구 | (967) | 71.0 | 29.0 | |
2세대 이상 가구 | (2,263) | 61.8 | 38.2 | |
기타 가구 | (85) | 68.8 | 31.2 | |
직업 | 관리/전문/사무직 | (1,416) | 53.3 | 46.7 |
서비스/판매직 | (976) | 64.5 | 35.5 | |
기능/노무직 | (401) | 62.0 | 38.0 | |
학생 | (324) | 66.0 | 34.0 | |
주부 | (742) | 70.0 | 30.0 | |
무직/기타 | (180) | 72.2 | 27.8 | |
고용형태 | 상용직 임금근로자 | (1,904) | 55.4 | 44.6 |
임시 및 일용직 | (397) | 55.0 | 45.0 | |
자영업자 | (450) | 72.5 | 27.5 | |
기타 | (42) | 78.9 | 21.1 | |
월평균 가구소득 | 200만원 미만 | (389) | 72.0 | 28.0 |
200~350만원 미만 | (932) | 60.8 | 39.2 | |
350~500만원 미만 | (1,047) | 57.8 | 42.2 | |
500~700만원 미만 | (1,117) | 61.1 | 38.9 | |
700만원 이상 | (555) | 65.5 | 34.5 | |
주관적 사회계층 | 하층 | (528) | 55.5 | 44.5 |
중하층 | (739) | 49.6 | 50.4 | |
중층 | (1,082) | 65.4 | 34.6 | |
중상층 | (670) | 68.2 | 31.8 | |
상층 | (1,020) | 66.0 |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