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ft
right
[ 식품이야기 ] TV속 먹거리
대한민국 식품안전 진단
‘대한민국, 식품안전을 진단한다’는 모 방송국에서 스페셜 기획으로 제작되어 6월 8일, 15일에 걸쳐 방송된 2부작 시사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통해 현 우리 식품안전 관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보다 완벽한 식품안전 체계 구축을 위한 해결책을 생각해 본다. 글_조경자(임상영양사)
‘대한민국, 식품안전을 진단한다’는 모두 1, 2부로 방송됐는데 1부 ‘부정불량식품과의 전쟁’ 편에서는 우리주변의 먹거리 문제를 살펴보고 정부의 정책과 소비자로서의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2부 ‘식품안전을 위한 노력’ 편에서는 대기업들의 식품안전을 위한 적극적인 생산운영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하고 있다.
불감증 대신 건강한 식품에 대한 바른 인식 갖는 것이 식품안전의 최선
식품
현 정부는 ‘4대악의 척결’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학교폭력, 가정폭력, 성폭력과 함께 불량식품이 포함되어 있다. 불량식품의 포함에 대한 반대 여론이 있기도 했으나 식생활 전반에 걸친 안전에 관한 문제로 생각하면 오히려 가장 중요한 선결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빵에 칼날조각이 들어가 있다거나, 학교 및 학원 주변에서는 엄마들이 아이들에게 결코 먹이고 싶어 하지 않는 식품들이 여전히 판매되고 있으며, 식당에서는 원산지를 속인 음식들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정부 해당기관인 식약처 담당 사무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로 관계부처의 협력을 통한 일괄되고 밀도 있는 규제, 감시 등이 가능하도록 행정체계를 개선하고 둘째, 법령을 재정비하여 고의적 식품안전 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동시에 셋째로 식품생산과 관련된 시스템 개선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친다고 한다. 이에 따라 일선 행정기관에선 보다 적극적으로 감시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식품을 파는 사람 사는 사람 모두가 식품안전에 대한 불감증을 거두고 건강한 식품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만이 안전을 보장하는 최선의 수단일 것이다.
처벌과 동시에 기술지원 등의 신속한 개선 시스템 마련 시급
위생
본 방송에서는 여러 기업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설비와 생산시스템에 대하여 매우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완전 자동화 공정으로 겨우 61명의 직원이 80만병의 유제품을 생산한다는 대기업이나 자체적으로 위생검사 시설을 갖추고 관리하는 기업을 소개했다. 하지만 식품업계 대다수를 차지하는 영세업체는 이와 같은 모습에 이질감을 느꼈을 수도 있다.
물론 대기업에서 앞장서 식품안전을 담보하는 일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나 우리나라 식품 생산의 70% 이상은 5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좀 더 다른 문제 제기나 대안 제시가 필요했을 것이다.
정부가 안전관리를 위해 규제나 단속을 강화하더라도 일부는 교묘히 법망을 빠져나가기 때문에 안전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다. 그래서 처벌과 동시에 기술지원 등의 식품산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에서 소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음식점에 대한 안전관리 우수사례는 소개되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대기업 식품 판매처의 제품이 실제로는 소규모 업체에서 생산되는 경우도 많은 것이 현실인 것을 감안하면 식품산업의 단면만을 조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되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시에서는 소규모 식품제조업체나 편의점, 소규모 휴게음식점에 대한 위생점검 및 식품안전교육을 실시해 영업자의 식품관리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 대형마트나 유통매장에서는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을 통해 부적합판정 식품이 철저하게 판매금지되는 등 소비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식품안전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앞으로 근본적인 식품안전체계 개선을 위해 이러한 프로그램에서는 대규모와 소규모 업체 간의 노력과 문제점에 대해서 균등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서울식품안전뉴스’ 웹진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저장하기